분류 전체보기 394

[알쓸IT잡] FDS 란? (이상거래탐지시스템, Fraud Detection System)

함께 만들어 나가는 IT 용어사전, 알쓸IT잡! IT 분야의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 드립니다. 오직 알쓸IT잡에서만!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Fraud Detection System) 이란? 거래 관계를 기반으로 한 그래프 FDS의 4가지 핵심 기능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Fraud Detection System)은 전자금융거래 시 단말기 정보와 접속 정보, 거래 정보 등을 수집 및 분석하여 이상 금융 거래를 차단하는 기술입니다. FDS 솔루션은 90년대 초 처음 등장하여⑴ 다양한 기술과 융합하며 발전해왔습니다. 일례로 온라인 전자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미국의 페이팔(Paypal)은 2001년 해커에게 공격을 당한 사건을 계기로 독자적인 FDS를 구축했습니다. 그렇다면 FDS는 어떻게 이상 거래를..

ARCHIVES 2020.07.22

자율주행차와 그래프 기술의 만남

자율주행 기술의 6단계 4차 산업혁명에서 핵심 분야로 떠오르는 자율주행차는 문재인 정부의 주요 공약으로 제시되며 정책적인 지원이 활발한 분야입니다. 특히, 지난주(7월 14일)에는 다양한 디지털 뉴딜 정책 중 하나인 5G와 AI를 자율주행차 산업에 융합한다는 발표가 있었고, 해당 기술이 더더욱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현대자동차가 아이오닉 자율주행차 시승회를 통해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도 메르세데스-벤츠와 엔비디아가 파트너십을 맺는 등 국내외로 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시스템은 2016년부터 국제 자동차 기술자 협회(SAE International)에서 분류한 단계를 글로벌 기준으로 통용하고 있으며, 아래와 같이 5단계로 나뉩니다. 5G는 자율주행차의 핵심 ..

[알쓸IT잡] 지식 그래프(Knowledge Graph)란?

함께 만들어 나가는 IT 용어사전, 알쓸IT잡! IT 분야의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 드립니다. 오직 알쓸IT잡에서만! 지식 그래프(Knowledge Graph) 란? “사람의 기억으로 생성되는 지식 정보를 좀 더 많은 양으로 정확하게 탐색하기 위한 기법” “임진왜란아 엄마 아빠가 깨우지 않아도 스스로 일어나는 참 착한 아이이구나!” 다소 당혹스러운 이 문장은 ‘임진왜란이 일어난 년도’를 묻는 질문에 대한 AI스피커의 대답입니다.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고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일어나다’의 뜻을 인식한 결과입니다. 동음이의어인 ‘일어나다’의 뜻을 문맥에서 해석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검색엔진에서 검색을 할 때 단어와 단어 사이의 관계, 문장의 흐름을 고려해 이해할 수 있다면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

ARCHIVES 2020.07.15

PostgreSQL의 확장 프로그램, Apache AGE 소개

비트나인이 개발한 PostgreSQL의 멀티 모델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확장 프로그램인 Apache AGE(A Graph Extension)의 알파 버전이 올해 3월에 출시됐습니다. 이후 Apache AGE는 오픈소스 이니셔티브로 Apache Software Foundation (ASF)에 기증되어 인큐베이션 프로젝트로 채택되었습니다. 아파치 재단에는 200여 개의 소프트웨어 커뮤니티가 있으며, 각각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만들기 위해 자체 협업 커뮤니티의 스타일로 작업합니다. ASF의 첫 프로젝트는 인터넷 프로토콜로 가장 널리 사용된 기술인 HTTP 서버였고, Apache Hadoop, Cassandra, Spark 및 Lucene과 같은 수많은 유명 프로젝트를 배양한 바 있습니다. Apache AGE의..

GRAPH DB/Apache AGE 2020.07.13

[알쓸IT잡] 빅데이터(Big Data)란?

함께 만들어 나가는 IT 용어사전, 알쓸IT잡! IT 분야의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 드립니다. 오직 알쓸IT잡에서만! 빅데이터, 이제는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널리 알려진 개념이며, 이를 해석하는 것 또한 다양한 시각이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는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도구의 능력을 넘어서는 대량(수십 테라바이트)의 정형 데이터, 또는 심지어 데이터베이스의 형태가 아닌 비정형의 데이터 집합조차 포함한 데이터’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존(2010년대 이전)의 아날로그 환경에서 생성되던 데이터에 비해 그 규모가 방대하며, 생성 주기도 짧고, 형태도 수치 데이터뿐 아니라 문자와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대규모 데이터’라고도 덧붙일 수 있습니다. 한편, 다양한 종류의 대규모 데이터에 대한 생성, 수집..

ARCHIVES 2020.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