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wledgeGraph 13

[기술 보고서]팔란티어 AIP 분석 보고서

1. 개요1.1. 분석 목적 및 배경팔란티어(Palantir Technologies)는 빅데이터 분석 및 인공지능 솔루션을 제공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최근 AIP(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를 통해 AI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팔란티어의 AIP 솔루션을 중심으로 기술적 특성, 핵심 기능, 주요 모듈 및 차별화 요소를 분석합니다.1.2. 주요 분석 대상 및 범위팔란티어 AIP의 핵심 기술 및 아키텍처주요 기능 및 모듈별 기술적 특징기존 팔란티어 제품(Foundry, Gotham)과의 연계성AIP의 시장 경쟁력 및 차별점향후 발전 방향 및 전략적 시사점2. 시장 및 환경 분석2.1.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AI 플랫폼 시장 동향엔터프라이즈 AI 플랫폼 ..

그래프 모델링으로 알아보는 지식 그래프

지식 그래프는 지식 베이스에 축적한 다양한 지식을 점과 선 관계로 구현한 그래프 모델이다. 지식 베이스란 특정 분야의 전문가가 지적 활동과 경험을 통해서 축적한 전문 지식이나 문제 해결에 필요한 사실과 규칙 등이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그렇기에 기존의 지식 베이스들은 문제 해결의 수법이 전문가에 따라 다르듯이, 대상으로 하는 문제별로 구축해야만 했다. 하지만 2012년 구글이 개별적 지식뿐 아닌 다양한 소스로부터 축적하고 통합 과정을 통해 서로의 콘텐츠를 연결하는 독자적인 지식 베이스인 ‘지식 그래프’라는 걸 선보이며, 지식 그래프의 활용성이 제대로 입증되기 시작했다. 지식 그래프 모델링 2가지 기법 지식 그래프 모델링 기법에는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지식 베이스 그래프 모델링’..

[알쓸IT잡]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이란?

함께 만들어 나가는 IT 용어사전, 알쓸IT잡! IT 분야의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 드립니다. 오직 알쓸IT잡에서만! 설명 가능한 AI(XAI, Explainable AI)란? AI는 자율주행, 제조업, 암 진단, 은행 고객 응대 등 활용 분야가 넓은 기술입니다. 사람보다 더 뚜렷한 성과를 내기 때문에 다가오는 미래에는 단순 노동을 넘어 전문적인 업무를 대체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AI가 잘못된 판단을 하면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결과에 대한 근거 및 도출과정을 생략하거나, 오류 발생 시 원인을 즉시 알 수 없어서 개발자마저 AI의 문제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떤 과정을 통해서 결과를 도출해냈는지 설명할 수 있다면 사람들이 훨씬 더 잘 받아들이고 AI를 신뢰할 수 있지..

ARCHIVES 2020.08.26

[알쓸IT잡] 지식 그래프(Knowledge Graph)란?

함께 만들어 나가는 IT 용어사전, 알쓸IT잡! IT 분야의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 드립니다. 오직 알쓸IT잡에서만! 지식 그래프(Knowledge Graph) 란? “사람의 기억으로 생성되는 지식 정보를 좀 더 많은 양으로 정확하게 탐색하기 위한 기법” “임진왜란아 엄마 아빠가 깨우지 않아도 스스로 일어나는 참 착한 아이이구나!” 다소 당혹스러운 이 문장은 ‘임진왜란이 일어난 년도’를 묻는 질문에 대한 AI스피커의 대답입니다.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지 못하고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일어나다’의 뜻을 인식한 결과입니다. 동음이의어인 ‘일어나다’의 뜻을 문맥에서 해석하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검색엔진에서 검색을 할 때 단어와 단어 사이의 관계, 문장의 흐름을 고려해 이해할 수 있다면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

ARCHIVES 2020.07.15

[알쓸IT잡] 그래프 데이터베이스(Graph Database)의 장점 - Part. 2

함께 만들어 나가는 IT 용어사전, 알쓸IT잡! IT 분야의 모든 궁금증을 해결해 드립니다. 오직 알쓸IT잡에서만! 지난 글에 소개했던 그래프 데이터베이스의 개념에 이어서 이번에는 그래프 DB의 잘 알려진 장점에 대해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그래프 DB가 자랑하는 핵심적인 장점 3가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스키마 없는 구조 2. 질의 처리 속도 3. 직관적인 모델링 1. 스키마가 없는 구조 (Schema-less)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는 개별 데이터를 정형화된 형태의 테이블에 삽입하는 방식이 아닌 하나의 객체로 저장하기 때문에 데이터 용량이 늘어나거나 입력되는 형태가 다양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프 DB는 단일 서버 환경 및 분산 데이터 환경에서 뛰어난 운용성을 자랑합니다. 전체 테이블 데이터를 ..

ARCHIVES 2020.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