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암호화 2

[이슈분석]SK텔레콤 해킹 사태로 보는 데이터베이스 수준 암호화의 중요성

사태 개요SKT 부사장은 "네트워크 쪽은 암호화돼 있지 않은 부분이 많다"며 "데이터 인증을 할 때는 암호화를 하지만, 데이터로 저장된 상태에서는 암호화를 하지 않고 있다"고 2025년 4월 30일 국회 청문회에서 밝히며, SK텔레콤이 유심(USIM) 정보를 암호화하지 않은 상태로 관리했던 사실이 확인되었습니다. 따라서, 민감 정보들이 암호화가 되어있지 않은채 외부에 노출된 상황입니다.개인정보의 데이터베이스 수준 암호화가 중요한 이유휴대전화 가입자 정보 등 개인정보는 서비스 이용자의 디지털 신원증명 역할을 하는 민감한 정보입니다. 이러한 정보가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저장되면 다음과 같은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 식별 정보 노출: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로, 개인정보 유출로 이어질 수 있습..

국내외 DB보안 기술과 알고리즘 현황

서론 Database 보안과 암호화의 중요성 ​ 데이터의 가치가 증가하고, 정보 유출 및 보안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암호화의 필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영국 금융회사인 Lloyd’s 의 조사에 따르면 해킹 및 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는 전세계 연간 4,000억 달러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페이스북, 야후 등 저명한 글로벌 테크회사에서 5억명이 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고가 발생했고, 국내에서도 KB국민카드, 롯데카드 등 금융사에서 1억 400만건의 개인정보가 유출된 사고가 발생하는 등 정보 유출 및 보안 사고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 이에 따라 각국의 정부에서 개인정보 보호법을 제정하여 고객 정보를 소홀히 관리하여 유출될 경우 강력한 처벌을 내리고 있습니다. 뿐만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