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나인, 그래프 기술 활용한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고도화 박차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연구·개발 기업 비트나인(대표 강철순)은 자사의 그래프 기술을 활용한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Fraud Detection System)’이 고도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10일 밝혔다.
이상행위탐지, 이상금융거래탐지, 부정거래탐지 등으로 불리는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은 빅데이터를 수집해 패턴을 만들어 정형화한 후 기존의 데이터와 다른 양상을 띠는 패턴(비정형 패턴)을 잡아내 그 경로를 차단하는 보안 방식이다. 비트나인 측은 기존 시스템을 고도화함에 따라 대포통장 등 금융 범죄에 대한 탐지와 적발도 더욱 용이해졌다고 전했다.
이 시스템의 핵심인 패턴 분석은 그래프 DB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그래프 DB는 많은 양의 네트워크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빠르게 연관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다. 실제 빅데이터 분야의 유니콘 기업인 미국의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에서는 연방 마약국과 계약을 맺고 그래프 DB 기술을 마약 범죄 조직 검거에 활용하기도 했다.
특히 금융권에서는 이 기술을 통해 이용자 패턴, 사고 패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이상 거래에 대한 징후 탐지가 용이하다. 비트나인의 그래프 DB 솔루션 아젠스그래프(AgensGraph)를 활용하면 고객의 금융거래 패턴과 자금 흐름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시각화할 수 있어 보이스피싱과 같은 금융 사고를 예방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수 있다.
비트나인 강철순 대표는 "최근 금융권은 물론, 군사정보 해킹, 사이버테러의 탐지 및 적발 등에 대한 수요가 날로 높아지는 시점에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가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수집과 분석에 최적화된 그래프데이터베이스(GDB)의 장점을 활용해 해당 기능을 더욱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비트나인은 지난 2019년 불법 상품과 마약 등의 밀수 범죄를 단속하기 위한 실시간 탐지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구현한 바 있다.
▷ 출처 : 조선비즈
▷ 원본 링크 :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10/2020041002462.html
▷ 그래프데이터베이스 도입으로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을 성공적으로 고도화한 사례가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글을 확인 하세요!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 고도화를 위한 그래프DB 도입
이상거래탐지시스템(FDS)이란? 개요 및 정의 인공지능 기술을 논의하면서 떠오르는 키워드 중 하나는 이상거래탐지시스템, FDS(Fraud Detection System)입니다. FDS의 첫 단어 Fraud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습..
bitnine.tistory.com
데이터로 연결하는 스마트한 세상, Bitnine
다양한 AgensGraph 활용 사례를 확인하세요